CS/네트워크 2

로드밸런서

로드밸런싱이 왜 필요할까? 서버가 단 하나만 존재할 때 수천만명의 사람들이 서버에 동시 접속하면 어떻게 될까요? 하나의 서버는 부하를 감당하지 못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식에는 장비를 업그레이드하는 Scale-up방식과 장비를 여러개 두는 Scale-out방식이 있습니다. Scale-out 방식으로 여러 서버를 둔다면 해당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서버마다 존재하는 다른 IP가 필요할 것입니다. 서버마다 다른 공인 IP를 부여한다면 사용자들마다 각각 다른 IP로 접속할 것이고, 개발자가 원하는 방식대로 부하를 분산하기 어려워집니다. 예를 들어 100명의 사용자가 존재하고 2대의 서버가 있다면 99명의 사용자가 서버 1에 접속하고 1명의 사용자가 서버 2에 접속할 수도 있는 것이니까요. ..

CS/네트워크 2023.04.11

OSI계층, TCP/IP

OSI 모델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통신 프로토콜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하는 개념적 프레임워크이다. OSI 7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하기 위함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들지 않고 에러단계만 고칠수 있기 때문이다. OSI7계층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한다. 01_ 물리계층 -인터넷 케이블, 라우터 스위치 등의 전기적 신호가 물리적 장치에 왔다갔다하는 곳을 말한다. 02_ 데이터링크계층 - 네트워크 상의 주변 장치들 간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스위치는 네트워킹 장치이며 미디어 엑세스 제어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 패킷을 의도한 대상으로 전달하여 네트워크 내에서 장치를 연결하는데 ..

CS/네트워크 2023.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