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기적으로 Client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와야하는 경우
Polling
장점 : 일정 주기를 가지고 서버의 API를 호출하는 방법
단점 :불필요한 요청이 발생하며 따라서 불필요한 서버 부하가 발생한다
서비스 유저가 적을 경우는 괜찮을 수 도 있지
서비스 유저가 많을 경우, 굉장히 많은 요청이 필요하다. 서버 부하가 발생한다.
Long-Polling
장점 : 서버에서 업데이트가 일어난 경우에 발생한다.
단점: 데이터 업데이트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경우에 Polling 과 유사하다.
SSE(Sever-Sent Event)
서버에서 웹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보내준다.
웹브라우저가 서버측에 업데이트시 알려주는 Subscibe를 건다.
데이터 업데이트가 발생시 브라우저쪽으로 업데이트를 보낸다.
단점:서버에서 웹브라우저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그 반대는 불가능하다.
최대 동시 접속횟수가 제한되어있다.
(채팅서비스에는 부적합, 알람같은 경우에는 적합)
WebSocket
서버에서 웹브라우저사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방법이다. 채팅에서 많이 사용한다.
728x90
's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규모 트래픽을 대응하는 과정(Redis-2) (0) | 2023.04.09 |
---|---|
대규모 트래픽을 대응하는 과정(kafka) (0) | 2023.04.09 |
대규모 트래픽에 대응하는 과정(Redis-1) (0) | 2023.04.09 |
Cach 란?? (0) | 2023.04.09 |
대규모 트래픽일시 현 architecture의 문제점 분석 및 해결 (0) | 2023.04.09 |